top of page

비행 이론

공개·회원 1명

9. 상승비행(소아링)

상승비행에는 사면 비행(ridge soaring), 열 비행(thermal soaring),웨이브 비행(wavee soaring) 등이 있다. 9-1. 사면 비행(ridge soaring) 지표면 또는 해상을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이 산의 경사면이나 해안의 절벽에 부딪치면서 바람 방향이 경사지어 올라가는데,경사지어 올라가는 바람을 이용하여 장시간 산 사면에서 비행하는 것을 사면 비행이라한다. 사면비행을 하기 좋은 활공장으로는 평창 해피 700 활공장, 상주 활공장 등이 좋다.

* 사면 비행(ridge soaring) *

ree

1) 사면 비행(ridge soaring)의 조건 사면 상승을 하는데 이론상의최소한의 경사는 글라이더의 최대 활공비와 같아야 한다. 왜냐하면 바람 속도의수직 상승성분이글라이더의 하강 성분보다크거나 같을 때에만 글라이더는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사면 비행시 이용하는 바람 *

ree

68회 조회

8. 기상

상승비행(soaring)은 대부분 기상에 좌우된다. 패러글라이더는 기상에 따라 비행하며 상승하는 공기덩어리 내에 있을 때만 고도를 유지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고고도 비행을 원하는 비행자들은 고도를 유지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를 잘 알고 있어야만 멋진 상승비행의 열쇠가 된다. 8-1 기초 기상 정보 1) 바람(wind) 지표면에 대한 상대적인 공기의 운동을 바람이라 한다. 즉 기압의 차이로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 한다. 2) 풍향(wind direction) 바람이 불어 오는 방향을 풍향이라 말한다. 풍향의 표시 풍향은 보통 16방위로 표시하는데, 북풍은 360°방향, 동풍은 90°, 남풍은 180°, 서풍은 270°방향으로지리학상 진북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풍향을 나타낸다. 기준을 남북으로 하기 때문에 동북풍, 서남풍이라 하지 않고 북동풍, 남서풍이라 한다. 즉, 북쪽에서 남쪽으로 부는 바람은 북풍이라 표현을 한다. 풍향의 표시 풍향은 보통 16방위로 표시하며, 기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① 동풍 :E,서풍 :W,남풍 :S,북풍 :N ② 남동풍 :SW,남서풍 :SW,북동풍 :NE,북서풍 :NW *풍향, 풍속의 표시*

ree

3) 풍속(wind speed) 바람의 세기를 뜻하며 단위는 m/s, km/h, knot 등으로 나…

ree

77회 조회

7. 비행규칙

비행중 글라이더와 글라이더 또는 행글라이더와 공중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 비행규칙을 익혀두면 공중충돌 없이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서술하는 비행규칙은 교통부장관이 교통부령으로 법으로 정해놓은 것이므로 어느 지역에 가서든지 모두 통용이 되는 것이므로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 방향 전환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좌,우 또는 선회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는먼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 전방 주시하여야 한다. 7-1 비행 규칙 1) 두 기체가 정면으로 서로 마주 쳤을 때 서로 우회전하여 비행을 한다.

*서로 마주치고 비행을 할 때 비행 규칙 *

ree

2) 거의 비슷한 고도에서 앞서가는 글라이더를 추월하고자 할 때 앞 글라이더의우측방향으로 우회하여 비행한다.

*전방 기체를 추월하고자 할 때 비행 규칙 *

ree

23회 조회

6. 이륙활공착륙

6-1 이륙(take off), 활공(glding), 착륙(landing) 1. 2인승 비행(tandem flight) 단독 비행에 앞어 교육 중에 2인승 비행은 필수이다. 2인승 비행은 단지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지금까지 교육 받은 내용을지도자와함께 비행을 하면서 점검하고, 보다 안전하게 단독비행을 하기 위한 방법이다.

* 2인승 비행을 통한점검 *

ree

1) 2인승 비행을 통한 점검 사항 (1) 비행자가고소 공포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2) 지도자와 함께 비행을 하면서비행 요령, 조종 요령, 착륙 요령 등을 습득한다. (3) 지도자와 함께 비행을 하면서 단독 비행을 할 비행자가 직접 조종을 하면서조종요령을 익힌다. (4) 2인승 비행을 통해 단독 비행시 불안해 하지 않도록자심감을 갖도록 한다 2.이륙 (take off) 지상연습 및 저지대 이,착륙 연습과정 및 2인승 비행을 통한 교육이 끝난 후 연습자는 지도자의 판단 아래 단독비행을 하게 된다. 높은 산에서 단독 이륙은 지상 훈련 및 저지대 이,착륙 연습이 충분히 소화된 연습자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 이륙전 점검 사항 *

ree

* 이륙시 주의 사항 *


33회 조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