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술 강좌 1009
어떻게 너희들은 ?
비행 중 수많은 날개와 하나의 써멀을 공유하면서도 공중충돌을 하지 않는 것은 나름 규칙을 정하여 비행하기 때문이다.
대회의 경우 미리 회전방향을 정한다.
홀수날 좌회전
짝수날 우회전
이를 기준으로 그 지역 활공장 특성에 맞게 정하여 대회를 하게되며
어떻게 너희들은 ?
비행 중 수많은 날개와 하나의 써멀을 공유하면서도 공중충돌을 하지 않는 것은 나름 규칙을 정하여 비행하기 때문이다.
대회의 경우 미리 회전방향을 정한다.
홀수날 좌회전
짝수날 우회전
이를 기준으로 그 지역 활공장 특성에 맞게 정하여 대회를 하게되며

스카이 패러글라이딩 학교입니다.
이륙 전 풍향, 풍속, 기온의 변화, 구름,지형, 그리고 새나 다른 비행자가 비행하는 모습을 보고
써멀을 찾으러 나갑니다. 당신은 이륙 시 이와 같은 것을 확인하고 이륙을 하시나요 ? 적운형 구름은 태양의 복사 에너지에 의해 지면이 달구어지면서 상승하는 공기입니다. 1.그 상승하는 공기는 하늘로 올라가면서 팽창을 하면서 기온이 내려간다
2.하늘로 올라가는 공기 안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어, 하늘로 올라갈 수록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려고 한다.
3.습도가 100%에 도달하면 수증기는 물방울로 변하고 구름이 형성되기 시작을 합니다.
대류(convection)란 ?

태양에너지에 의해 지표면이 가열되면 지표면에 있는 가열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하늘로 올라간 공기는 단열팽창하면 온도가 내려가고, 응결고도에 해당되면 냉각되어서 얼음 알갱이가 되는데
이 알갱이들이 모여 있는 것이 구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열기류가 올라가면 구름이 형성되는데 보통 적운이 형성됩니다. 적운이란 ?
그림에서 보듯이 밑은 편평하고, 높이가 최대 2000m까지 형성되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지면으로 부터 열 기류가 공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들어봤던 뭉게구름입니다. 바닥은 편평하고, 위로 올라갈 수록 3각형 모양으로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적운은 보통 2000미터에 형성이 되면
상승 크기는 2~5m/s정도입니다.(20 초간 평균 상승률) -순간 상승률이 아닙니다
양평 유명산
스카이 패러글라이딩 학교입니다.
오늘은 산 경사면을 따라 올라오는 상승기류(slope soaring)에서 비행 시 비행 위치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산 정상 부근에서 이륙을 하여 본인이 설정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면서 상승기류를 만날 수 있습니다.
상승기류를 만나서 열 비행을 하다 보면 고도는 올라가고, 내 비행 위치는 점점 더 이륙장 정상을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산 정상을 넘어 선회 비행을 하면서 열 기둥에서 빠지면 산 정상으로 날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